21인의 PD와 자치규약
21인의 누리마실 PD
- 노디(김용택)
- 성북동주민자치회
- 도라(이혜미)
- 사자(김지연)
- 로마노(송현우)
- 연짱(장연주)
- 지니야(김지희)
- 아밀라짓
- 쨈(장지미)
- 박동명
- 오배(오선아)
- 전지욱
- 콜라(박현진)
- 봉봉(유영봉)
- 마귀(하장호)
- 브라질(성낙경)
- 올레(이남주)
- 관희(한재훈)
- 다인(성다인)
- 이지렁(이지영)
- 티항
2021 누리마실 PD 자치규약
‘2021 누리마실 프로듀서 자치규약’은 2021년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21명의 공동 프로듀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그간 성북구를 기반으로 민•관협력형 축제를 함께 만들어간 민과 관의 현장 경험 융합의 힘을 존중하고, 상호 관계의 미학이라는 기반 하에 신뢰를 바탕으로 모든 프로듀서들의 합의 하에 작성된 실행규약이다.
-
1. 원칙
- – 프로듀서는 관계의 미학에 기반하여 신뢰를 바탕으로 활동한다.
- – 프로듀서는 축제를 함께 만들어가는 모든 참가자들의 매개자다.
- – 프로듀서는 축제 참가자의 공동 합의를 이끌어가는 소통 창구이다.
- – 프로듀서는 지역 네트워크의 발견자이며 지역 자원의 원활한 교류를 도모한다.
- – 프로듀서는 축제로 발생하는 지역자원의 만남을 일상의 네트워크로 연결한다.
- – 프로듀서는 축제 공동의 가치와 자신만의 정의를 조화시켜 축제의 의미를 스스로 정비하고 타인과 공유한다.
- – 프로듀서는 지역 거버넌스가 상징하는 네트워크력을 이행하고 대변하는 자이다.
- – 축제의 완성은 80%의 작업 완성과 20%의 커뮤니티력로 이루어진다.
-
2. 실무지침
가. 예산
- – 축제의 예산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한다.
: 예산의 사용 범위에 따라 축제가 핵심으로 생각하는 가치가 드러난다. 따라서 프로듀서는 예산 전반의 흐름을 파악하고 소소한 예산 사용에 있어서도 축제가 지향하는 가치를 구현하고 있는 지 고민한다. - – 프로듀서는 전체 축제 예산의 흐름에 따라 맡게 된 단위 프로젝트의 예산규모에 대한 적정성을 도출한다.
: 참가자와의 상시 소통을 통해 적정 예산액의 범위를 상정하고 축제 사무국과의 소통을 통해 적정 예산액을 확정한다. 관련하여 참가자 그룹과 축제 사무국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해 노력한다.
: 협의를 진행시키는 주체는 프로듀서임을 잊지 말고 해당 논의에서 필요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참가자그룹과 사무국의 사이에서 조율을 실행한다.
: 논의가 무르익지 않았는데도 해당 이슈에 대한 해결 또는 합의를 사무국 또는 참가자그룹에 미루지 않는다. - – 참가자의 작업 가치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예산 사용을 제안한다.
: 예산 사용 및 집행에 있어서 정보가 부족한 참가자 그룹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합리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예산 사용 방법을 제안한다.
나. 일정과 실행
- – 참가자의 원활한 작업 진행에 필요한 아이디어 도출 기간을 충분히 고려하고, 축제일로부터 필요한 절차에 따라 일정을 배분한다.
: 민관협력형 축제는 클라이언트와 실행자가 구분되는 공모 방식을 지양하며, 누구나 실행자이자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는 상호 소통형 방식을 지향한다. 따라서 회의가 많고 상호 의견 조정을 위한 일정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 – 일정은 크게 아이디어 도출 및 작업기획, 내용 확정 및 예산 검토, 준비 실행 및 각종 리허설, 당일 설치와 진행 및 철수, 후속 작업으로 구분한다.
: 아이디어 도출 및 작업 기획 단계에서는 축제와 단위 프로젝트의 의미를 결합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고, 필요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지역 내 각종 공간, 설비, 인력 등 지원 가능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기획을 완성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을 상정하되 축제 진행에 필요한 일정을 검토하여 참가자그룹에 상기시킴으로써 작업 기간의 부족 없이 원하는 바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일정 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 내용 확정 및 예산 검토 단계에서는 단위 프로젝트와 축제 사무국, 여타 프로젝트와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모든 관계자와 소통하고, 합의가 필요한 그룹들과의 논의 자리를 마련하고, 최선의 협의를 위한 내용을 제안하고, 갈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내용 확정 및 예산 검토 단계에서 미리 향후 후속작업까지 소통할 관계자 및 소통내용에 대해 분류하여 파악하고 참가자 그룹과도 해당 내용을 공유한다.
: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축제임을 염두에 두고 해당 준비를 위해 지역주민 또는 여타 프로젝트, 참가자 그룹이 겪을 수 있는 갈등을 사전이나 사후에 해소시키기 위한 활동이나 조치를 실행한다.
: 축제의 정보 취합 및 홍보, 공통 적용사항 등의 마련을 위해 참가자 그룹에게 사전 준비해야 할 작업과 활동을 공유하고 해당 작업 수행을 위해 집행 지원 및 취합 정보전달의 역할을 수행한다.
: 진행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상황 및 해소를 위한 복안에 대해 리허설 단계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합의된 복안 수행을 위한 필요사항을 사전 준비하도록 지원한다.
: 진행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안전, 보건 등의 사전 준비 사항과 단위프로젝트 실행 시 돌발사항을 체크하고, 불시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영역의 관리자로서 직접 필요한 조치를 진행한다. - – 프로듀서는 매 기간마다 일정을 조율하고, 현장에서 변동되는 일정 조정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모든 관계자들에게 고지한다.
: 축제는 자원 사용이 정확한 기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는 공동작업으로써 단순히 배포식의 알림으로는 소통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상대방에게 정확한 인지와 생각의 시간이 확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락을 취해야 하며, 의견조율 역시 원하는 일정 내 소통이 완료될 수 있도록 직접 연락, 모든 관계자의 인지확인, 의견 조율의 한계 기간 명시, 의견 조율 후 확정 내용 공지를 진행하여야 한다.
다. 마무리
- – 단위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회를 진행하고 축제 사무국과의 공유를 통해 향후 축제실행 향상을 도모한다.
: 참가자 그룹 및 축제 사무국과의 평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회의 일정 확인 및 가능 일정으로 소집, 평가회 준비, 평가회 실행 및 자료 취합, 참가자 그룹에 필요한 평가 내용 공유, 축제 사무국과의 평가 내용 공유 및 축제 향후 실행을 위한 평가과정에 참여한다. - – 해당 작업을 계기로 참가자그룹에 연계하면 좋을 지역 자원을 소개하고 필요한 커뮤니티와 네트워크를 안내한다.
- – 단위 프로젝트로부터 도출된 자원을 확인하고, 지역 내 지속 가능한 자원화의 가능성을 검토하면서 필요한 소통을 매개한다.
- – 축제가 완료된 다음 함께 한 모든 관계자에게 가능한 방법을 통해 축제 주체의 입장으로 감사의 뜻을 전한다.
- – 축제의 예산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한다.